사실 [기초-데이터형] 문제는 Python3의 강점이 빛을 발하지 않나 싶다. Java나 C언어는 int가 -2147483648 ~ +2147483647 범위 밖에 표현하지 못해서 새로운 자료형을 사용해야하지만 Python은 int형을 사용하면 수의 크기에 따라 알아서 메모리 사용량을 늘린다.
*참고 깃허브
https://ahracho.github.io/posts/python/2017-05-09-python-integer-overflow/
[기초 파이썬] 파이썬 3에는 오버플로우가 없다?
오버플로우(Overflow)란? 지난 포스팅에서도 설명하였듯이 C언어에서 변수 혹은 상수의 값은 메모리에 직접 저장이 된다. 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int 변수 a에 5라는 값을 대입하면, 컴퓨터는 알아
ahracho.github.io
#1028.
a = int(input())
print(a)
#4294967295
#4294967295
#1029.
a = float(input())
print('%0.11f'% a)
#-2147483649
#-2147483649.00000000000
int형만 편리한 줄 알았더니 float형도 마찬가지인가보다. Java나 C언어에서 float는 +- 3.4*10^-38 ~ +- 3.4*10^38, double형은 +- 1.7*10^-308 ~ +- 1.7*10^308을 저장해서 이 문제에서는 double 형을 써야한다.
#1030.
a = int(input())
print(a)
#-2147483649
#-2147483649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9th. CodeUp #1506 : [기초-논리연산] 참/거짓이 서로 다를 때에만 참 출력하기 (0) | 2020.12.14 |
---|---|
이것이 코딩테스트다 chapter12 구현 연습문제 (0) | 2020.12.07 |
이것이 코딩테스트다 Chapter 4 구현 (0) | 2020.12.05 |
CodeUp 기초100제 [기초-출력] 문제 풀이(#1001~#1008) (0) | 2020.11.25 |
CodeUp 기초 100제 [기초-출력변환] 문제풀이 (#1031~#1037) (0) | 2020.11.23 |